2025년 3월 6일, 문화체육관광부가 19세 청년을 위한 특별한 선물을 준비했습니다.
바로 청년 문화예술패스!
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이 혜택은 공연과 전시 관람비로 최대 15만 원을 지원합니다.
뮤지컬, 클래식, 전시 등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기회가 열린 셈이죠. 게다가 인터파크와 예스24를 통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제공되며, 국립 예술단체 공연에서는 추가 할인 혜택까지 누릴 수 있어 청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.
청년 문화예술패스, 어떤 혜택일까?
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소득과 상관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2006년생(2006.1.1.~12.31. 출생자)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지원 제도입니다.
발급받으면 기본 10만 원(국비)이 즉시 지급되고, 지역별로 추가 5만 원(지방비)이 더해져 최대 1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.
이 포인트는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뮤지컬, 클래식, 콘서트, 전시 등 다양한 공연과 문화 행사 예매에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.
특히 올해는 국립극단,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지역 공연시설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이 더해져 더욱 알찬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답니다.
신청 방법과 기간은?
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은 간단합니다. 먼저 인터파크나 예스24 중 한 곳에서 회원가입을 한 뒤, 공식 누리집(youthculturepass.or.kr)에 접속해 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.
신청은 2025년 3월 6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되며, 5월 31일까지 진행돼요. 단, 전국 17개 시도별로 발급 인원이 정해져 있어 선착순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두르는 게 좋습니다.
사용 기한은 발급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, 5월 31일까지 발급받은 패스를 6월 30일까지 한 번도 사용하지 않으면 지원금이 환수되니 주의하세요!

국립 예술단체 할인 혜택, 놓치지 마세요!
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활용하면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지역 공연시설에서 특별한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국립극단의 ‘만선(3.630)’과 ‘그의 어머니(4.219)’,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‘베르디, 레퀴엠(3.9)’ 같은 공연들이 할인 대상이에요.
지역 공연도 풍성합니다. 대전예술의전당 ‘아침을 여는 클래식(3.11)’, 경기아트센터 ‘서가콘서트 <데미안>(3.15)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죠.
더 자세한 공연 정보는 3월 중순부터 공식 누리집과 인스타그램(@youthpass19)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자주 체크해보세요.
청년 문화예술패스 활용 팁
이 혜택을 100% 누리려면 몇 가지 팁을 알아두면 좋아요.
먼저, 인터파크와 예스24 중 한 곳을 선택해 신청한 뒤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니 신중히 결정하세요.
예매 시 포인트를 사용하면 차액은 본인 부담으로 결제하면 되고, 공연 당일 현장에서 본인 확인 후 티켓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대중음악 콘서트나 영화, 도서 구매는 지원 대상이 아니니 공연과 전시에 집중해 계획을 세우는 게 좋겠죠. 미리 공연 일정을 확인하고, 할인 혜택과 함께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잡아보세요!
2006년생 청년을 위한 문화 선물
문화체육관광부는 “청년들이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문화예술 현장에 더 가까워지길 바란다”며 청년들의 행복한 삶을 응원하고 있습니다.
2006년생이라면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, 3월 6일부터 신청해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쌓아보세요. 친구와 함께 뮤지컬을 보거나, 혼자 전시를 감상하며 나만의 시간을 보내는 것도 특별한 추억이 될 거예요.
지금 공식 누리집을 북마크 해두고, 신청 날짜를 기다려봅시다!
문의처
-
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과: 044-203-2516
-
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누리팀: 061-900-2270
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www.korea.kr)